티스토리 뷰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07
1707번: 이분 그래프
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,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K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빈 칸을 사이에
www.acmicpc.net
이분 그래프를 판별하는 방법을 알아야 하는 문제이다.
이분 그래프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.
한 노드에서 시작하여 전체 노드를 탐색하며 처음 방문한 노드들을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집합으로 분류한다.
갔던 노드를 다시 방문한 하는 경우, 다시 방문한 노드가 이전 노드와 같은 집합이라면 해당 그래프는 이분 그래프가 될 수 없으므로
탐색을 종료한다.
위의 탐색을 모든 노드에서 출발하는 경우에 다 해봐야 한다.
모든 노드가 다 연결되어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.
따라서 모든 노드를 시작점으로 탐색을 하도록 반복문 내에서 dfs를 실행하되 한번이라도 이분 그래프가 될 수 없는 경우를 발견하면 더 이상 탐색을 할 필요가 없다.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ArrayList<Integer>[] arr;
static boolean[] visited;
static int[] team; // 0 or 1
static boolean result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StringTokenizer st;
int K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for(int i=0; i<K; i++) {
//i번째 테스트 케이스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V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 // 노드 개수
int E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 // 간선 개수
//노드 개수만큼 인접 리스트 초기화
arr = new ArrayList[V+1];
visited = new boolean[V+1];
team = new int[V+1];
for(int j=1; j<=V; j++) {
arr[j] = new ArrayList<>();
}
//간선 개수 만큼 이어진 노드 정보 입력
for(int j=0; j<E; j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start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end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arr[start].add(end);
arr[end].add(start);
}
//데이터 세팅 끝
//전체 그래프를 탐색하며 이분 그래프가 맞는 지 판별
//방문했던 노드를 다시 방문하였을 때, 같은 집합에 속한 노드라면 이분 그래프가 될 수 없다.
//그래프 전체를 탐색하기 위해 DFS.
//모든 노드가 이어져있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모든 노드에서 출발하는 경우를 다 따져봐야 함.
result = true;
for(int j=1; j<=V; j++) {
if(result) {
dfs(j);
}
}
if(result) {
bw.write("YES\n");
} else {
bw.write("NO\n");
}
}
br.close();
bw.flush();
bw.close();
}
private static void dfs(int node) {
visited[node] = true;
for(int i=0; i<arr[node].size(); i++) { //연결된 노드 탐색.
int next = arr[node].get(i);
if(!visited[next]) {
//다음 노드가 방문하지 않은 노드라면, 집합을 분류하고 탐색
if(team[node] == 0) team[next] = 1;
else if(team[node] == 1) team[next] = 0;
dfs(next);
}
else {
//다음 노드가 방문한 노드라면 집합이 같은지 다른지 확인.
//더 이상 탐색할 필요가 없음.
if(team[node] == team[next]) {
result = false;
return;
}
}
}
}
}
'Coding Test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/2252번/Java - 줄세우기 (위상 정렬) (0) | 2023.10.06 |
---|---|
백준/1717번/Java - 집합의 표현 (유니온 파인드) (0) | 2023.10.06 |
백준/17087번/Java - 숨바꼭질 (유클리드 호제법) (0) | 2023.10.06 |
백준/1850번/Java - 최대공약수 (0) | 2023.10.06 |
백준/1929번/Java - 소수 구하기 (0) | 2023.10.06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스프링부트
- 알고리즘
- 17087
- java
- 자바
- 그리디
- 11050
- 정렬
- 14719
- 탐색
- dfs
- 지능형 기차2
- 나무 재테크
- 유니온 파인드
- 11659
- BFS
- appsync
- SpringBoot
- 16235
- 스택
- 유클리드 호제법
- 백준
- 코딩
- lambda
- 12891번
- 3190번
- aws
- 크게 만들기
- 람다
- 24060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